요즘에는 넷플릭스, 왓챠, 디즈니플러스, 웨이브, 티빙 등으로 드라마와 영화와 예능 프로그램들을 시청한다. 그리고 사람들이 이 플랫폼에 관심이 생길수록 이 플랫폼들에 가격도 점점 올라간다.
플랫폼 당 한달 구독료가 약 1만원정도 하는데 앞서 말했던 다섯개에 플렛폼을 모두 구독한다고 치면 한달에 드는 비용은 약 5만원 정도 되어진다. 선뜻 납부하기 쉽지 않은 금액이다. 대부분에 사람들은 이 플랫폼에서 여러개를 보기보다는 한두개에 프로그램을 본다. 내가 보고 싶은 프로그램이 한 플랫폼에 다 있지 않고 다양한 플랫폼에 분산되어 있다 보니 사용대비 비용이 너무 많이 나가게 된다.
플랫폼에 대한 인지도와 인기가 점점 올라갈 수록 이용 가격이 더 오르고 있다. 특히 넷플릭스는 프리미엄 가격이 무려 17,000원이다. 일년으로 치면 무려 20,4000원인 것이다.
반면 오늘 포스팅에서 소개하게 되는 OTT서비스를 통해서는 넷플릭스를 5,240원에 이용할 수 있다. 넷플릭스에서 그냥 결제하는 것 보다 OTT서비스를 통해 결제하는 것이 약 1/3정도 절약할 수 있다.
OTT플랫폼
모든 OTT플랫폼은 여러가지 요금제에 따라서 이용할 수 있다. 그리고 동시에 여러 기기에서 로그인 할 수 있는 요금제들이 있다. 쉽게 말하면 '나에 계정을 다른 사람들과 공유하는 것' 이다.
OTT플랫폼도 종류가 다양하다 '피클플러스', '링키드', 'OTT쉐어' 등 있는데 이 OTT플랫폼에서는 여러가지 플랫폼을 계정공유해 사용할 수 있다.
그리고 계정을 공유해서 사용하는 하나에 그룹이 있어야 하는데 그 그룹은 4명으로 구성된다. 그리고 본인을 포함한 4명에 파티원을 관리하는 파티장을 뽑아야한다. 파티장은 내 계정을 공유하는 것이고 나머지 파티원들은 파티장에 계정에서 같이 공유해 쓰는 것이다.
그리고 그것을 관리하는 파티장에게는 조금에 메리트가 있다. 파티가 완전히 매칭되는 데까지 걸리는 시간이 많이 없고 아주 조금이지만 각 플랫폼을 이용할 때 수수료가 일반 파티원보다는 조금 싸다.
이렇게 OTT공유 플랫폼에서는 하나에 그룹을 자동으로 매칭해주는 역할을 해준다.
파티장은 매달 결제금액 정산을 자신이 하고 그리고 나머지 세명이 1/N한 금액을 자신에 계좌로 입금받는다. 파티원들은 각 OTT공유 사이트에 처음 가입할 때 자신들이 등록해 놓았던 카드에서 매달 자동으로 1/N한 금액이 입금되는 것이다.
같이 한 플랫폼에 계정을 공유하다 보면 먹튀가 발생할 수 있지만 OTT플랫폼을 사용하게 되면 그런 걱정할 필요 없이 깔끔하게 1/N을 해서 플랫폼을 사용할 수 있다. 그렇기 때문에 OTT플랫폼들이 사람들 사이에서 많은 인기를 얻고 있다.
OTT플랫폼 안에서도 콘텐츠가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잘 알아보고 선택해서 보다 저렴하게 서비스를 즐기기를 바란다.
'경제 > 재태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# 1. 직장인 집에서 매달 100만원씩 더 벌기 (경품 응모) (0) | 2023.02.06 |
---|---|
20%이상 정립되는 알뜰 교통카드 사용 방법 (2) | 2022.09.04 |
알뜰교통 카드로 월 1만원씩 교통비 절약하기 (0) | 2022.09.04 |
사회초년생이 신용카드를 만들어야 하는 이유? (6) | 2022.09.03 |